본문 바로가기

자율주행/python공부

Python으로 게임 만들기 조사

짧게 정리해볼게요. “Python으로 3D 게임”을 목표로 할 때 현실적으로는 아래 3가지가 가장 추천 라인업입니다.

1) Panda3D (가장 “정통” 파이썬 3D 게임 엔진)

  • 장점: 파이썬 1급 시민(스크립팅이 기본), C++ 코어라 렌더링/충돌/애니메이션 성능 좋음, Bullet 물리엔진 연동, 씬그래프/콜리전 시스템 탄탄.
  • 단점: 에디터가 심플(UE/Unity 같은 풀 에디터 아님), 최신 튜토/레퍼가 조금 흩어져 있음.
  • 누구에게: “파이썬 유지하면서 진짜 3D 게임 구조로 가겠다”는 경우의 베스트.
# 최소 예: Panda3D — 회전하는 모델
from direct.showbase.ShowBase import ShowBase
from panda3d.core import PointLight, AmbientLight
from direct.task import Task

class App(ShowBase):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model = self.loader.loadModel("models/panda")   # 샘플 모델
        self.model.reparentTo(self.render)
        self.model.setScale(0.5)
        self.model.setPos(0, 10, 0)

        # 간단한 조명
        plight = PointLight("pl")
        self.render.setLight(self.render.attachNewNode(plight))
        alight = AmbientLight("al"); alight.setColor((0.2,0.2,0.2,1))
        self.render.setLight(self.render.attachNewNode(alight))

        self.taskMgr.add(self.spin, "spin")

    def spin(self, task):
        self.model.setH(self.model.getH() + 60 * globalClock.getDt())
        return Task.cont

App().run()

2) Ursina (가장 쉬움: Panda3D 기반의 초간단 API)

  • 장점: 수십 줄로 3D 시제품 가능, 기본 컴포넌트와 충돌/입력/애니메이션이 매우 간단.
  • 단점: 추상화가 높은 만큼 대형 프로젝트에서 세밀 제어가 답답할 수 있음.
  • 누구에게: 빠른 프로토타이핑, 학습·시연·게임잼.
# Ursina — 큐브 움직임 + 충돌(간단 예)
from ursina import *
app = Ursina()

player = Entity(model='cube', color=color.azure, collider='box')
wall   = Entity(model='cube', color=color.gray, collider='box', position=(2,0,0), scale=(1,2,1))

def update():
    player.x += held_keys['d'] * time.dt * 3 - held_keys['a'] * time.dt * 3
    if player.intersects().hit:
        player.x -= (held_keys['d'] - held_keys['a']) * time.dt * 3

app.run()

3) UPBGE (Blender 실시간 엔진 포크, 파이썬 로직)

  • 장점: Blender 에디터(모델링/노드/라이팅)를 그대로 사용 + 로직은 파이썬.
  • 단점: 배포/워크플로우가 일반 엔진과 달라 호불호, 커뮤니티가 한정적.
  • 누구에게: 블렌더 워크플로우가 익숙하고 툴-내 제작을 좋아하는 경우.

그 밖의 선택지 (상황 따라)

  • Godot 4: 주 언어는 GDScript/C# (파이썬과 매우 비슷). “에디터/툴 편의성”은 최고급. 파이썬을 꼭 고집하지 않는다면 강력 추천.
  • Unreal/Unity: 파이썬은 툴/파이프라인 자동화용. 런타임 게임플레이 스크립팅은 C++/블루프린트(UE)나 C#(Unity) 권장.
  • moderngl / PyOpenGL + pyglet: “엔진 없이 직접 렌더러/패스/셰이더”를 만들 때. 학습용·실험용엔 좋지만 풀 게임엔 프레임워크를 또 올려야 함.
  • PyQt/PySide + OpenGL 위젯: 가능하긴 하나 게임 엔진 대체용으로 비추천(툴/시뮬레이터 UI엔 적합).

어떤 걸 고르면 좋을까? (빠른 가이드)

  • 파이썬 유지 + 본격 3D 엔진 구조Panda3D
  • 최소 코드로 빨리 만들어 보기Ursina
  • 블렌더 에디터 활용UPBGE
  • 에디터/생태계 최우선, 언어 변경 OKGodot 4 (GDScript/C#)

성능/구조 팁

  • 파이썬은 게임플레이 로직에 쓰고, 렌더링/물리 등 핵심은 C/C++ 코어가 처리하는 엔진(위 3개)이 유리합니다.
  • 병목이 생기면: NumPy 연산, Cython/pybind11로 병목 함수만 컴파일, 파티클/AI는 배칭·LOD 등으로 압축.
  • 입력/업데이트는 고정 또는 반고정 시간 스텝(예: 60Hz)으로 돌리고 렌더는 가변 프레임으로 분리하면 안정적.

원하시면 당신의 목표(장르, 타깃 플랫폼, 팀 규모)에 맞춰 엔진 선택 표 + 프로젝트 보일러플레이트(폴더 구조, 씬 로더, 입력/충돌/카메라/GUI 템플릿) 바로 만들어 드릴게요.

'자율주행 > python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배양  (0) 202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