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리얼엔진/Github 깔기

(4)         글쓰기    
협업시 관리해야할 언리얼 엔진 4 디렉토리에 대하여 이번에는 언리얼 엔진 폴더 구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파일을 백업하거나, Git이나 SVN을 사용하여 협업을 할때 어떤 파일을 지우거나 한정하여 관리해야할지 막막했던 상황이 한번쯤은 다들 있으실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서 언리얼 프로젝트 파일이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언리얼 엔진 도큐먼트를 보면 여러가지 디렉토리가 있지만, 특별한 세팅없이 생기는 게임 프로젝트 디렉터리만 설명하겠습니다. 언리얼 엔진 디렉터리 구조 도큐먼트 : http://api.unrealengine.com/KOR/Engine/Basics/DirectoryStructure/index.html 깃이나 SVN, 퍼포스 같은 버전관리 툴로 디렉터리를 관리할때는 필수적인 파일만..
언리얼 깃허브 연동 3 올리고 받기 1. Push하기 GitHub 리포지터리에 자료를 올리는 것을 Push라고 한다. 이는 Commit(커밋)과는 약간 다른 개념으로, 변경 사항을 (로컬) 리포지터리에 저장하는 것이 Commit (로컬 리포지터리의) 변경 사항을 GitHub(공유) 리포지터리에 업로드하는 것이 Push다. 커밋할 땐 요약(Summary)과 설명(Description)을 잘 작성해, 다른 팀원들이 "어떤 사항이 변경됐는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요약을 안 적으면 커밋이 활성화되지 않아 처음에 횟깔리지만. 요약이름이 분기점 이름이 되기 때문이다. 날자시간등으로 자동생성되지 않는다 언리얼 작업에서, 지금껏 작업한 내용을 커밋하는 방법엔 두 가지가 있다. 1-1. 언리얼 엔진에서 커밋하기 먼저, 언리얼 엔진 내부..
언리얼 깃허브 연동 2 - 팀원편 1. 컴퓨터에 리포지토리 클론 초대 링크를 받고 들어온 팀원도 리포지토리와 언리얼을 연동시켜야 한다. 컴퓨터 내에 로컬 저장소를 생성해보자. 우선 GitHub Desktop을 켜면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File - Clone repository를 눌러 초대받은 리포지토리를 불러온다. 초대받은 리포지토리를 선택하고, Local path에서 경로를 지정해준다. 이때 경로엔 한글이 입력되지 않게 주의한다. 이 폴더 내에 언리얼 프로젝트를 생성할 건데, 언리얼 프로젝트는 경로 상 한글이 있을 때 에러가 나며 열리지 않는다. 다행히 팀원에겐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꼭 영어로만 경로를 설정해주자. 클론한 리포지토리가 Git LFS를 사용 중이기에,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Initialize Git LFS 버..
언리얼 깃허브 연동하기 팀장편 결론부터 말하면 공짜 깃허브는 용량이 1GB라 언리얼 프로젝트 관리가 불가능하다. 처음에는 몇백MB정도인데 조금만 하다보면 간단하게 1GB가 넘어 버린다. 선생님 예제 파일을 연결해서 볼수 있지. 자신의 프로젝트는 안된다. 한달에 4$내고 pro를 쓰던지 학생인증해서 pro를 무료로 사용해아 50GB로 업그레이드 된다. 학생인증은 유효기간이 보이는 학생증이나 학교 홈페이지에 현재날짜와 자신의 정보, 학생ID정도가 보이는 화면을 캡쳐하면 된다. 굳이 서류를 돈내고 떼지 않아도 된다. 깃허브 쓰는 법을 간단히 배워지만 잘 안된다. 언리얼의 파일들이 커서 항상 LFS에러에서 걸린다 . LFS란 큰 파일을 쪼개서 보내는 옵션인다. 한번 에러가 나기 시작하면 풀기어려워 결국 다른 계정을 만들어 해결중이다.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