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56)         글쓰기    
UE_LOG 유니티 로그 : Debug.Log 언리얼 로그 : UE_LOG 둘의 가장 큰 차이는 매개 변수라고 볼 수 있다. 언리얼 로그의 매개변수는 UE_LOG(카테고리, 로깅수준, 형식, 인자)로 유니티 로그만 출력해본 사람으로서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 // Called when the game starts or when spawned void AMyActor::BeginPlay() { Super::BeginPlay(); //카테고리, 로깅수준, 형식, 인자 UE_LOG(LogTemp, Warning, TEXT("BeginPlay %d"), 3); UE_LOG(LogTemp, Warning, TEXT("BeginPlay")); } 게임을 실행시키면 한번 로그가 출력되는 코드이다. 카테고리(ELog Category..
언리얼 깃허브 연동 3 올리고 받기 1. Push하기 GitHub 리포지터리에 자료를 올리는 것을 Push라고 한다. 이는 Commit(커밋)과는 약간 다른 개념으로, 변경 사항을 (로컬) 리포지터리에 저장하는 것이 Commit (로컬 리포지터리의) 변경 사항을 GitHub(공유) 리포지터리에 업로드하는 것이 Push다. 커밋할 땐 요약(Summary)과 설명(Description)을 잘 작성해, 다른 팀원들이 "어떤 사항이 변경됐는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요약을 안 적으면 커밋이 활성화되지 않아 처음에 횟깔리지만. 요약이름이 분기점 이름이 되기 때문이다. 날자시간등으로 자동생성되지 않는다 언리얼 작업에서, 지금껏 작업한 내용을 커밋하는 방법엔 두 가지가 있다. 1-1. 언리얼 엔진에서 커밋하기 먼저, 언리얼 엔진 내부..
언리얼 깃허브 연동 2 - 팀원편 1. 컴퓨터에 리포지토리 클론초대 링크를 받고 들어온 팀원도 리포지토리와 언리얼을 연동시켜야 한다.컴퓨터 내에 로컬 저장소를 생성해보자.   우선 GitHub Desktop을 켜면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File - Clone repository를 눌러 초대받은 리포지토리를 불러온다.초대받은 리포지토리를 선택하고, Local path에서 경로를 지정해준다. 이때 경로엔 한글이 입력되지 않게 주의한다.이 폴더 내에 언리얼 프로젝트를 생성할 건데, 언리얼 프로젝트는 경로 상 한글이 있을 때 에러가 나며 열리지 않는다. 다행히 팀원에겐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꼭 영어로만 경로를 설정해주자.클론한 리포지토리가 Git LFS를 사용 중이기에,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Initialize Git LFS 버튼을 눌러..
언리얼 깃허브 연동하기 팀장편 결론부터 말하면 공짜 깃허브는 용량이 1GB라 언리얼 프로젝트 관리가 불가능하다. 처음에는 몇백MB정도인데 조금만 하다보면 간단하게 1GB가 넘어 버린다. 선생님 예제 파일을 연결해서 볼수 있지. 자신의 프로젝트는 안된다. 한달에 4$내고 pro를 쓰던지 학생인증해서 pro를 무료로 사용해아 50GB로 업그레이드 된다. 학생인증은 유효기간이 보이는 학생증이나 학교 홈페이지에 현재날짜와 자신의 정보, 학생ID정도가 보이는 화면을 캡쳐하면 된다. 굳이 서류를 돈내고 떼지 않아도 된다. 깃허브 쓰는 법을 간단히 배워지만 잘 안된다. 언리얼의 파일들이 커서 항상 LFS에러에서 걸린다 . LFS란 큰 파일을 쪼개서 보내는 옵션인다. 한번 에러가 나기 시작하면 풀기어려워 결국 다른 계정을 만들어 해결중이다. ㅠㅠㅠ..
제페토 워크플로우
로블록스, 탈 메타버스·탈 키즈 시동…"차세대 마케팅 플랫폼 구축"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09111431022354c5fa75ef86_1/article.html 로블록스, 탈 메타버스·탈 키즈 시동…"차세대 마케팅 플랫폼 구축" 세계 청소년들의 사랑을 받는 게임이자 '메타버스 유망주'로 꼽히던 로블록스(Roblox)가 탈 키즈·탈 메타버스 사업에 나선다. 포트나이트·마인크래프트·제페토 등 라이벌들과 차별화에 더해 뉴 www.g-enews.com 세계 청소년들의 사랑을 받는 게임이자 '메타버스 유망주'로 꼽히던 로블록스(Roblox)가 탈 키즈·탈 메타버스 사업에 나선다. 포트나이트·마인크래프트·제페토 등 라이벌들과 차별화에 더해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 이후 끊이지 않는 적자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연 17조원 버튜버 시장 노린다"…제페토·로블록스 각축전 https://www.g-enews.com/article/ICT/2023/07/202307191800208779c5fa75ef86_1 제페토와 로블록스 등 '메타버스'를 지향하는 다인원 소셜 게임 플랫폼들이 연이어 버추얼 유튜버(버튜버)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유명 가수들의 '온라인 콘서트' 유치전에 더해 가상 엔터테인먼트 분야로도 전선을 넓히는 모양새다. 네이버제트는 이달 들어 제페토(ZEPETO)에 기존의 3D AR(증강현실) 형태의 아바타에 더해 일본 애니메이션풍 그래픽 아바타를 지원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사측은 이러한 아바타 업데이트에 관해 지난해 1월 공개한 개인방송 기능 '제페토 라이브'와 버튜버 생태계를 연계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사측이 버튜버와의 협업을 추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
"로블록스 잡겠다"던 제페토·이프랜드, 내수시장에서 '참패' 로블록스를 비롯한 글로벌 메타버스를 상대로 경쟁에 나섰던 국산 메타버스들이 내수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성과도 경쟁 상대들을 따라가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이 나온다. 현재 국내 대표 메타버스로 꼽히는 것은 올 3월, 서비스 개시 4년 7개월 만에 누적 가입자 수 3억명을 돌파한 네이버 '제페토'다. 제페토의 대항마로는 지난해 누적 가입 1200만명을 넘긴 SK텔레콤의 '이프랜드'가 손꼽힌다.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데이터ai'에 따르면 제페토와 이프랜드의 국내 양대 앱 마켓(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월간 활성 이용자는 각각 4월 기준 119만명, 42만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로블록스'의 MAU는 553만명으로 제페토의 5배에 가까웠다. 세계적으로 '3..
시장규모 메타버스는 새로운 플랫폼 역할을 통해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이머전 리서치는 지난해 476억9000만달러(약 56조원) 수준이던 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매년 40% 이상 성장해 2028년 8289억5000만달러(약 980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메타버스가 최대 8조달러(약 9400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제페토 네이버Z 업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대표자명:김대욱/김창욱 기업주소:경기 성남시 분당구 분당내곡로 131, 7층 지도보기 사업내용:데이터베이스,온라인 정보 제공 계열사:네이버 주주정보 주주명보통주우선주대주주와의 관계기업과의 관계 스노우(주) 100.00% 0.00% - 계열회사 SVF II Aggregator (Singapore) 0.00% 46.47% - - (주)하이브 0.00% 12.42% - - 네이버웹툰(유) 0.00% 9.42% - 계열회사 (주)제이와이피엔터테인먼트 0.00% 9.42% - 사원수: 400명 매출액 자본현 모기업 네이버의 재무재표 1. 개요 불가능이란 없는 이곳. 또 다른 나 또 다른 세계, ZEPETO. 네이버제트가 운영하는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로, ..
메타버스 트렌드 서비스 2021년 9월까지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트랜드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메타버스는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3D 환경을 이용하여 현실과 가상 세계를 결합하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와 기술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가상 현실 게임: 가상 현실 게임은 메타버스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VR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가상 세계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Oculus Rift, HTC Vive 등의 VR 헤드셋을 이용하는 게임들이 있습니다. 가상 현실 체험: 메타버스는 교육, 여행, 문화 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가상 여행을 통해 유명한 장소를 방문하거나 가상 미술 전시회를 즐기는 등의 ..
메타버스 트렌드 포브스, ‘2023년 상위 5개 메타버스 트렌드’ 소개 http://www.digitalbizon.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0912 전 세계 3억 명이 함께하는 글로벌 플랫폼 제페토(ZEPETO)는 네이버의 자회사 네이버Z의 스노우에서 출시한 3D AR 아바타 제작 애플리케이션이다. 증강현실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와 닮은 아바타를 만들 수 있다.(사진=제페토 이미지와 버나드 마르)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메타버스 개념 이 2030년까지 세계 경제의 가치에 5조 달러(약 7110조 원)에 이를 것으로 포브스는 예측했다. 포브스는 메타(Meta)가 가상현실 환경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는 동안 마이크로소프트및 엔비디아와 같은 회사는 디지털 프로젝트에서 공동 ..